로그인 해주세요.

☆스포넷 공식 설문☆    차종 변경 하거나 추가 하신 회원..?     ::설문 참여하기::

스포넷 질문 답변 게시판    뉴스포티지와 관련된 질문 글을 올려주십시요. 답변에 대한 감사 댓글은 매너입니다. ^0^

게시판 관리자 : [KW]KTH 님

[re] 엔진오일물방울??


>가솔린 차량 첫 엔진오일 교체후 정비소 에서 엔진오일 뚜껑에서 물방이 매취고 안쪽으로 크림색 이불질 보여요
>차량에 이상이 있는건지 답답합니다..ㅜㅜㅜ

퍼온 자료이며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거구요.
크게 걱정하시지 않아도 될듯....

1.밀키현상에 대한 정의
엔진오일이 수분과 만나면 밀크처럼 햐얗게 되는 현상을 밀키현상이라 칭한다.

2.밀키현상이 발생되는 메커니즘
엔진은 연소과정에서 수분이 발생된다. 일부는 배기를 통해 빠져나간다. 나머지는 엔진 연소실 내에서 피스톤의 상하운동에 의해 실린더 블록과 피스톤 사이를통해 크랭크케이스 쪽으로 내려가 엔진오일과 만나게 된다. 이때 오일의 온도가 100도 이하일경우 오일속에 수분이 존재하게 된다. 그렇지만 정상운행중에는 오일온도가 100도 이상이므로 오일속에 함유되어있던 수분을 자연스럽게 증발되어 실린더 헤드와 블러 사이의 통로를 경우하여 캠커버까지 올라간다. 캠커버 내부에는 온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캠커버 밖은 온도가 낮아 캠커너 안쪽에서 응축수(물방울)가 맺히게 된다. 이곳에 캠축에서 비산된 오일이 뿌려지면 오일과 수분이 적정한 비율로 섞이게되어 마치 우유처럼 햐얗게 변하여 밀키현상이 생긴다.

3.밀키현상이 발생되기 쉬운 계절 및 조건
밀키현상은 온도차가 심한 초겨울에 자주발생된다. 특히 저녁에 주차해둔 차량의 경우 아침에 시동을 걸어 얼마되지 않아 오일주입구를 열어보면 밀키현상을 쉽게 볼수있다.

4.주로 발생되는 부위
엔진에서 발생된 수분은 수증기 상태로 온도가 높아 주로 헤드쪽으로 올라가 캠커버 안쪽에 쌓인다. 일부는 PCV SYSTEM을 통해 엔진메니폴드쪽으로 순환되어 다시 연소되지만 PCV SYSTEM을 통해 전량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캠커버 안쪽 상층부에서 물방울이 되어 캠축에서 비산되는 오일을 만나게 된다. 캠커버 안쪽에는 육안으로 확인이 안되기 때문에 대부분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렇지만 오일 주입구의 경우 가끔 오일을 보충 또는 필요에 따라 캡을 열어보게 되므로 밀키현상을 확인할 수있다.

5.엔진윤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가능하면 발생되지 않은 것이 좋으나 엔진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해 수분은 언제든지 발생될수있다. 문제는 엔진이 충분히 열을 받으면 오일온도가 100도 이상이 되어 수분이 대부분 증발되어 사라진다. 그러나 충분히 열을 받기전에 시동을 끈경우 엔진내부에는 수분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온도차가 많이 발생되는 캠커버내부 및 오일주입구 안에는 밀키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다시 시동을 걸어 엔진이 충분히 열을 받으면 대부분 사라진다. 따라서 엔진오일이나 윤활시스템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정상적인 경우보다 오일 슬러지 발생이 많아질수 있다. 이 경우 평상시보다 겨울철에는 오일 교환주기를 단축하거나 오일통로를 세척하는 "오일플러싱"을 하면 훨씬더 엔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댓글
0
취소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