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스포넷 공식 설문☆    차종 변경 하거나 추가 하신 회원..?     ::설문 참여하기::

스포넷 메인 게시판입니다. 서로 존중하면서 편하고 자유롭게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차량관리(퍼옴)

신차 길들이기보통 오너 운전자들은 신차 길들이기라면 엔진만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차량의 기능성 부품 모두가 이에
해당합니다.

신차 길들이기에는 차량의 각 파트 별 부품들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여 , 차량 사용 시 보다 편안하고 안전한
차량을 만들 수 있게 해 주면, 이는 차량의 수명 연장과 연비향상에도 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신차 길들이기 방법차량을 처음 인도받았을 때 신차의 길을 들인다고 고속으로 주행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입니다.
최초 1,000km 전까지의 주행은 차량의 수명과 성능을 좌우하므로 이 기간 동안에는 다음 사항을 숙지하여
운행하십시오.

출발은 웜-업을 한 후에 하십시오.시동 직후 무리한 급출발은 피하고 웜-업 후에 출발을 해야 엔진 및 변속기에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급가속, 과속, 급제동은 삼가십시오.

· 급가속은 많은 연료가 필요하고 엔진 부하가 커져 불완전
   연소가일어나게 됩니다.

· 과속은 엔진회전수가 과도하게 올라가며 이로 인해 기계적인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 엔진의 수명을 단축 시킵니다.

· 급제동은 현가장치나 하체부품 등이 제자리를 잡도록 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속도에 알맞은 변속을 하십시오.수동변속기의 경우 엔진의 회전수가 2,000~3,000 rpm 정도를 유지하면서 변속을 해야 엔진과 변속기에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이 때 엔진은 가장 조용한 작동음을 듣을 수 있으며, 자동변속기는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지만 변속기에 무리를 주지 않기 위해서 가속페달을 급하게 밟거나 놓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같은 차량이라도 운행하는 횟수나 운행거리 또한, 운전자의 운전 방법이나 습관, 도로의 여건 차량의 상태 등에 의해서 연료가 소모되는 현상이 달라지므로 아래와 같은 방법을 지키면 연료 소모율을 조금 더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1. 필요 이상의 공회전 금지
2. 장시간 정차 시 엔진 정지
3. 필요 없는 화물 적재 금지
  
4. 급가속, 급제동 가급적 지양
5. 가능한 정속 주행
  
6. 타이어의 규정 공기압 유지
7. 안전거리 유지
(필요없는 제동은 지양)
8. 차량 일상점검의 생활화

올바른 배터리 사용방법 배터리의 기능배터리는 자동차가 초기 시동 시에 시동모터를 구동하며 발전기의 발전양보다 전기 소모가 더 많을 때 사용되는 보조장치로 항상 충전이 완료된 상태로 사용하여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의 방전 방지
1. 엔진을 멈춘 상태에서 라이트, 오디오를 장시간 사용하지 마십시오.
2. 엔진의 회전 중에도 장시간 정차하는 경우에는 발전기의 충전량이 적어지므로 전기소모를 최소화하여야 합니다.
3. 팬 벨트가 느슨해져 있거나 배터리 터미널이 풀려 있는 경우에는 충전이 되지 않게 됩니다.
4. 특히 전류소모가 많은 액세서리는 장착하지 마십시오.

※ 야간 운행 중에도 에어컨, 파워윈도우, 열선유리 등이 작동될 때 전조등이 약간 어두워 지는 것은 소모되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여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정상입니다.

배터리 방전 시의 증상1. 키를 돌리면 계기판에 각종 경고등이 점등 및 라디오가 시동을 걸면 "짤깍" 거리는 소리만 나고 엔진을 돌리지
못하게 됩니다.
2. 경음기(혼) 소리가 작아지게 됩니다.

배터리 방전 시의 조치방법1. 방전 시는 전기소모를 최소화하고 장거리 운행(고속도로운행 등)을 하거나 충전기를 이용 재충전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됩니다.

※ 배터리의 수명은 사용방법을 준수하면 수명이 연장되며 단순 방전 시는 재충전하면 배터리 용량이 다시 회복되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변속기 올바른 사용방법자동변속기선택레버[1]  
오토(AUTO) 모드P(파킹) 주차 및 엔진 시동 걸 때 주차시는 차륜을 고정하기 위해 "P"로 해주세요.
R(리버스) 후진시킬 때 반드시 차를 정차시킨 후 『R』 위치로 해주세요.
N(뉴트럴) 중립 동력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시동을 걸 수 있지만 안전을 위해 『P』 위치에서 시동을 거세요.
D(드라이브) 통상주행 출발에서 고속 주행까지 자동으로 변속됩니다.


스포츠(SPORT) 모드+ 업(UP) 시프트 한번 조작 때마다 1단씩 고단으로 변속 됩니다
- 다운(DOWN) 시프트 한번 조작 때마다 1단씩 저단으로 변속 됩니다.


스포츠(SPORT) 모드의 올바른 사용법 (스포츠모드 장착차량 만 해당)정차 중 및 주행 중 「D」 위치에서 선택 레버를 (+, -) 로 옮기는 것으로 스포츠 모드가 선택되며 「D」 주행으로 되돌아가고 싶을 때는 선택 레버를 자동모드(P, R, N, D)로 선택하면 됩니다. 스포츠 모드에서는 수동변속기처럼 선택 레버를 전, 후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빠르게 변속할 수 있습니다.

1. 스포츠 모드 상태에서 전진 주행 중에는 선택 레버를 「+」, 『-』로 움직여 1단에서 5단까지 변속을 하고 후진
및 주차 시에는 오토모드로 이동하여 『R』, 『P』를 선택하십시오.

2. 선택 레버를 『-(DOWN)』 측으로 빠르게 선택 레버를 "2회" 조작하면 3단에서 1단, 또는 4단에서 2단, 5단에서
3단으로, 한 단계를 건너뛴 변속이 가능합니다.

3. 스포츠 모드에서 주행 중 차속이 내려가면 변속 레버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저단 변속 되며, 정지
시에는 1단으로 변속 됩니다.

4. 미끄러운 노면에서 발진 성능을 좋게 하기 위해 정차 중에『 +(UP)』 측으로 1회 조작하면 2단 출발이 가능하며
『-(DOWN)』 측으로 조작하면 다시 1단으로 변속 됩니다.

5. 주행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속에 따라 『+(UP)』 측으로 조작하여도 변속이 되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또한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속에 따라 『-(DOWN)』 측으로 조작하여도 변속이 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 주의]스포츠 모드에서는 고단으로 자동적인 변속이 되지 않으므로 그때의 도로 조건에 맞추어 엔진 회전수 게이지가 적색 범위에 들어가지 않도록 적절한 변속을 하여 주십시오. 급격한 엔진 브레이크 및 급가속은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도로 상태 및 주행 속도에 맞는 적절한 변속을 하여 주십시오.


무단변속기선택레버[2]
무단변속기(CVT)는 주행상태에 따라 전 운전 영역에서 최적 변속비를 무단 계로 자동 선택하는 변속기로 변속 쇼크가 없는 부드러운 주행과 함께 우수한 연비가 장점입니다.
오토(AUTO) 모드P(파킹) 주차 및 엔진 시동 걸 때 주차시는 차륜을 고정하기 위해 "P"로 해주세요.
R(리버스) 후진시킬 때 반드시 차를 정차시킨 후 『R』 위치로 해주세요.
N(뉴트럴) 중립 동력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시동을 걸 수 있지만 안전을 위해 『P』 위치에서 시동을 거세요.
D(드라이브) 통상주행 출발에서 고속 주행까지 자동으로 변속됩니다.
Ds(드라이브) Down Shift & Drive Sport
경사로 주행 가벼운 엔진 브레이크가 필요할 때 또는 힘이 좋은 스포티 주행이 필요로 할 때 사용하며 고속도로의 긴 내리막길, 산길, 비탈길 등에 효과적임.
스포츠(SPORT) 모드+ 업(UP) 시프트 한번 조작 때마다 1단씩 고단으로 변속 됩니다.
- 다운(DOWN) 시프트 한번 조작 때마다 1단씩 저단으로 변속 됩니다.
스포츠(SPORT) 모드의 올바른 사용법정차 중 및 주행 중 「D」 위치에서 선택 레버를 (+, -) 로 옮기는 것으로 스포츠 모드가 선택되며 「D」 주행으로 되돌아가고 싶을 때는 선택 레버를 자동모드(P, R, N, D, Ds)로 선택하면 됩니다. 스포츠 모드에서는 수동변속기처럼 선택 레버를 전, 후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빠르게 변속할 수 있습니다.

1. 스포츠 모드 상태에서 전진 주행 중에는 선택 레버를 「+」, 『-』로 움직여 1단에서 4단까지 변속을 하고 후진
및 주차 시에는 오토모드로 이동하여 『R』, 『P』를 선택하십시오.

2. 선택 레버를 『-(DOWN)』 측으로 빠르게 선택 레버를 "2회" 조작하면 3단에서 1단, 또는 4단에서 2단
으로 단계를 건너뛴 변속이 가능합니다.

3. 스포츠 모드에서 주행 중 차속이 내려가면 변속 레버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저단 변속 되며, 정지
시에는 1단으로 변속 됩니다.

4. 주행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속에 따라 『+(UP)』 측으로 조작하여도 변속이 되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또한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속에 따라 『-(DOWN)』 측으로 조작하여도 변속이 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 주의]스포츠 모드에서는 고단으로 자동적인 변속이 되지 않으므로 그때의 도로 조건에 맞추어 엔진 회전수 게이지가 적색 범위에 들어가지 않도록 적절한 변속을 하여 주십시오. 급격한 엔진 브레이크 및 급가속은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도로 상태 및 주행 속도에 맞는 적절한 변속을 하여 주십시오.


히터 & 에어컨 관리 점검히터의 점검
히터에서 더운 공기가 나오지 않을 경우 우선 라디에이터 냉각수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냉각수가 부족할 경우 차량 안쪽에 위치한 히터 코어에 냉각수 부족이 다량 발생합니다.

또한, 히터 코어(히터 유닛 내) 누수는 냄새로서 감지할 수 있으며 한약 달이는 냄새와 매우 유사한 냄새가 납니다. 기타 불량이 의심될 때는 가까운 서비스센터나 전문 정비소를 찾아야 합니다. 히터 내부는 운전자가 확인이나 수리를 할 수 없으므로 꼭 전문가에 의뢰하여야 합니다.  
  
또한, 온도 조절 및 풍향 모드 조절이 되지 않은 경우는 히터 컨트롤 측의 문제 또는 히터 유닛의 모드 액추에이터나 연결 링크 불량이므로 전문가에게 수리를 의뢰하셔야 합니다. 그러나 겨울철에 엔진 온도가 정상적인 온도까지 올라가 있고 히터 송풍은 되는데 뜨거운 히터 송풍이 되지 않는다면 엔진 냉각계통의 이상이며 특히 겨울철의 부동액 관리 소홀로 인한 냉각수 빙결로 인한 문제임으로 겨울철 전에는 반드시 냉각수(부동액) 점검을 하셔야 합니다.
물론 송풍 자체의 문제라면 히터 유닛 측에 있는 블로우 모터 나 모터 구동음이 들리는데 바람이 나오지 않거나 약하다고 하면 에어컨 에어필터를 점검, 교환하셔야 합니다.  

에어컨 점검 및 사용
에어컨을 최적의 상태로 항상 쾌적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예방 및 정기점검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에어컨 부품은 고가품이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한번 고장이 나면 과다한 비용이 지출되어 사전 점검이 중요 합니다.  

겨울철 및 봄철에 에어컨을 재 사용하는 경우냉매량, 벨트 장력 등 기타 제반 사항을 철저히 점검해야 하며 에어컨가동 시에도 일상점검을 해야만 에어컨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다가 갑자기 에어컨을 사용할 경우, 먼지나 냄새가 에어컨 토출구를 통해 분출되어 불쾌할 수 있으며, 물이 썩듯이 내부장치가 부식되고 각 연결부의 고무패킹이 굳어져 냉매가 샐 수도 있으므로, 겨울철에도 일주일에 한 번 5분 정도씩 따뜻한 날에 주행 후 정차 상태에서 작동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먼지 등 이물질로 인한 악취 발생 시 가능하면 에바포레이터(Evaporator)에 직접 살포하는 냄새제거액을 사용하시면 가장 큰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에어컨 컨텐서 및 라디에이터는 엔진 룸에서 차량 전면에 부착되어 여름철 야간 운행 시 이물질이 끼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때는 냉각 효율이 감소하여 에어컨 성능이 떨어지므로, 이물질을 제거하며, 이물질을 제거할 때는 냉각핀이나 컨덴서 등이 휘지 않도록 주의하여 세차기나 물 호스를 이용하여 청소하여야 합니다.
장시간 고속 주행 시 찬 바람이 나오지 않는 경우 에어컨을 끈 상태에서 10분 정도 주행 후 다시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에어컨이 작동됩니다. (에바포레이터 빙결로 인한 문제)

에어컨을 사용할 때는 모든 창문을 닫아 주시되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내외기 절한 스위치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가 순환토록 하시고 가끔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십시오.


여름철에 에어컨을 재 사용하는 경우날씨는 덥고 공기는 후텁지근한 여름철 에어컨의 사용은 쾌적하고 안전한 운전환경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입니다. 운전하기에 가장 쾌적한 자동차 실내의 온도는 18~20℃. 햇볕이 없는 곳에서는 20~22℃도 운전자에게 상쾌한 느낌을 줍니다. 냉·난방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상반신과 하반신의 온도차. 가장 적정한 범위는 6~8℃ 로 머리는 차게 다리는 뜨겁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뜨거운 여름철 급속냉방이 필요로 할 때는 창문을 열어 차량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환기 시키고 에어컨을 켠 후 내기모드로 유지 시켜야 합니다.
에어컨을 관리할 때는 항상 에어컨 냉매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냉매 종류에는 요즘 출고되는 차량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프레온 가스(R12)와, 오존층 파괴에 대비해 현재 전 차량에 사용하는 R134a의 신냉매 두 가지가 있습니다.
에어컨 냉매가 부족하거나 없다면 반드시 누출된 원인을 찾아 수리를 해야 합니다. 특히 파이프 연결부에 끈적끈적하게 기름에 젖은 흔적이 있다면 그 부위가 누출 장소이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에어컨 냉매를 주입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보통 30~40분 정도. 기존에 남아있던 에어컨 냉매를 일단 회수한 후, 새로운 냉매를 새로 충전해야 합니다. 비가 오거나 습한 날에는 수분이 함께 주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능한 맑은 날을 이용해 에어컨 냉매를 충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마철이나 비가 오는 날 운전 중 앞유리에 습기로 인하여 운전 중 당황한 경험이 한두 번씩은 있었을 것인데 이 때는 에어컨을 켜고 외기모드로 전환하면 습기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는 습도센서가 부착되어 실내 습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에어컨을 구동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습니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6

스포넷은 자동 등업 시스템입니다. 가입후 가입인사 게시판과 출고신고 게시판에 인사 남겨주세요. 함께 환영 댓글 다시면 어느새 등급이 올라갈겁니다. ^0^
profile image
[경]파페퍼퍽 2007.04.02. 23:14
스포츠모드 한번도 사용을 안해봤는데여..... 글봐도 언제어케 사용해야 되는지 감이... T,.T
profile image
[서경]성현아빠 2007.04.03. 09:11
엔진브레이크 방법은 안나와 있는거져?? 저만 못본건가?? ^^
스크랩완료.. ^^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버그를 찾아라~] 스포넷 이용 불편사항 접수. 81 image nattylove 17.10.18.02:08 370만
공지 [공식 설문] 차량 변경 또는 추가 하신 분...?? - 선물 있어요 - 248 image nattylove 17.10.13.09:59 492만
공지 스포넷에 대한 안내 (2006/04/10) 371 image nattylove 04.07.21.16:21 172만
공지 스포티지 출고를 받으신 분은 반드시 출생신고 해주세요! 89 image nattylove 04.08.19.14:27 155만
46840
image
[서경]파라 10.06.23.06:09 1435
46839
image
아티스트데니스 10.06.26.03:11 1435
46838
image
[충]거침없는티지 10.07.01.05:56 1435
46837
image
구리장군 10.07.13.00:43 1435
46836
image
nattylove 10.07.16.11:25 1435
46835
image
초보라고 10.08.25.19:11 1435
46834
image
[서경]검댕스포 10.10.14.11:25 1435
46833
image
CG 10.12.29.21:41 1435
46832
image
[서경]파라 11.04.28.11:02 1435
46831
image
아침가리 11.05.27.10:45 1435
46830
image
[서경]가람대디 11.06.14.16:25 1435
46829
image
[경] fairplayHUN 11.07.14.11:05 1435
46828
image
가츠666 11.07.19.20:45 1435
46827
image
[경]이누--v 11.09.20.15:43 1435
46826
image
[경]초원숭이 12.07.06.19:13 1435
46825
image
nattylove 14.01.11.20:12 1435
46824
image
[서경]지니사랑 16.05.23.22:38 1435
46823
image
바람소리 04.09.12.18:24 1436
46822
image
바이오 04.09.22.23:49 1436
46821
image
곽성일 04.11.18.00:26 1436
46820
image
[서] 당근 05.01.22.00:09 1436
46819
image
솔이아범 05.02.08.00:38 1436
46818
image
네티러브 05.10.10.00:18 1436
46817
image
이세상꼭대기 05.11.30.10:27 1436
46816
image
[서경]오베론 05.12.17.00:00 1436
46815
image
[서경]택아 06.01.17.09:11 1436
46814
image
(경상)호성 06.03.08.01:32 1436
46813
image
[서경]수아아빠 06.08.26.02:36 1436
46812
image
[경]사땡(44)......[0 07.01.15.11:54 1436
46811
image
[충]야메술사™ 07.06.27.02:54 1436
46810
image
[충]그녀석™ 07.08.04.11:50 1436
46809
image
[서경]경락아빠 07.08.24.16:26 1436
46808
image
[충]야메술사(愛情)™ 07.11.22.21:31 1436
46807
image
[서경]파란사과100 08.01.15.08:43 1436
46806
image
[서경]아이가이 08.03.04.10:40 1436
46805
image
네티러브 08.03.10.10:05 1436
46804
image
드레이먼 08.03.19.12:11 1436
46803
image
[서경]무뚜기 08.05.27.10:10 1436
46802
image
던킨도넛츠 08.05.29.11:41 1436
46801
image
[경] fairplayHUN 08.11.28.17:17 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