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스포넷 공식 설문☆    차종 변경 하거나 추가 하신 회원..?     ::설문 참여하기::

뉴스포티지 정비,연비 포럼 게시판    뉴스포티지의 정비 후기나 연비 관리, 차량관리 노하우등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정비후기 VGT차량의 매연문제..

- 정비일자 : 2009/07/10
- 정비장소 : 진주 기아Q 서비스 (1급공업사)

- 현상 :
차량은 2006년 3월 식이고  전에 3만키로 부근때쯤 오일쿨러가 터짐으로서 엔진오일이 부동액과 석여서 돌아버린적있습니다.....
문제는 차량 수리 후부터 전에 없던 매연이 눈에 띄게 보이는 겁니다
지금은 9만 3천키로 정도 운행했구요...
거의 1주일정도 타고 다니면 CRDi 아닌가 할정도로 매연이 마후라 부분에 묻어 있습니다
그래서 창원 센터로 방문을 해보니 매연 테스트 해보자고 하더군요
매연 수치는 대략 19%.... 물론 검사시 통과 못할 수치는 아니라고 하더군요
법적 기준치가 30% 라나....
저는 매연 기준치를 물어 본게 아니고 없던 매연이 계속해서나오는데 그기에 따른 문제가 뭐냐고 따졌더니
기준치 이하라서 더이상 손을볼게 없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덧붙여서 디젤차량이라 원래 매연이 나온다고 합니다
매연이 나오는건 알고 있지만 전에 없이 매연이 심하게 나와서 정비하러 온거 아니냐고 또 따졌더니
역시나 기준치 이하라 수리가 안된다는 말입니다


- 정비내역 : 암것도 없음

- 정비결과 : 열라 맘에 안들음....지네들 말하기 편한것만 골라서 말하고 말 뒤집는건 예사고...

- 혹시 여러분들 중에서도 저와 비슷한 경험을 가지시거나 저처럼 06년식 배기가스 저감장치가 장착되어졌음에도
매연이 눈에 띄게 많이 나오시는 분들 같이 공유좀 부탁 드립니다

*******매연 기준의 의문점*********

차량의 본넷을 열고 앞쪽  부분을 보시면 (본넷 안쪽부분) 엔진 형식,배기량,매연 기준이 있습니다
제건 06년식이라 매연기준이 10% 라고 인쇄 되어져 있습니다
다른 쌍용 카이런은 비슷한 연식에 매연 기준이 20% 이더군요

법적 기준은 30%로 했으면서 왜 차량의 기준은 10%인지 이해가 안되는군요
기아 서비스에 물으니 차량이 제작 되어질때 매연이 10%라 그걸 인쇄했다는군요
그래서 인쇄되어 있는 그부분은 신경 쓰지 말라고 합니다...아무런 의미가 없다면서---창원 서비스센터 고객 상담원의 말이었습니다 100%
언뜻 이게 이해가 됩니까????

혹시 이런 문제에 대하여 전문 지식이 있으신분들이나 다른 의견이 있으면 댓글좀 부탁드립니다
전 지금 매연 때문에 돈을 들여서라도 고소라도 하고 싶습니다
기아 서비스는 정비받으러 갈때마다 지네들 편한대로만 말을 바꿉니다 특히 창원 서비스센터.....
보증기간이 지나버리니 더하더군요,,,조금만 더하면 배째라 하겠던데요

부탁드립니다 여러분들의 의견이 소중한 한 사람입니다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댓글
1
아앤
아앤
이세상에 원래 그렇다. 그런건 없지요.
직업이 자동차 정비는 아니지만 다른 정비를 하고 있긴 하지만
뭐 고장나서 가지고 왔는데 이거 원래 이래요. 이런말은 내 자신이 아는게 없으니 그냥 니가 알아서
고쳐써라 아니면 말고 이거밖에 안된다고 생각됩니다.
그 정비사가 문제인거죠.. 그걸 그냥 지나치신 회원님께서도 좀 안타깝습니다.
저같으면 그렇게 지나치지는 않았을거 같습니다.
이제는 어떻게 해도 기간이 지나서 자가수리 하는 수 밖에 없을듯 합니다.
이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01:00
2009.07.25.
취소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